티스토리

검색하기

블로그 홈

raeilog.tistory.com/m

Ritournelle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조정환, 예술력과 예술관계의 개념 정립을 위하여- 것, 때, 그리고 예술 사물(낡은 ‘것’)이나 생명체(발칙한 ‘것’), 소유물(내 ‘것’), 생각과 감각(인생은 아름다운 ‘것’이다)이나 상상(이 작품은 관심을 끌 ‘것’이다), 방향설정(선을 가늘게 그을 ‘것’) 등을 가리키는 데 두루 사용되는 우리말 ‘것’(Ding)은 힘들의 특정한 배치, 하나의 시간적(역사적) 관계이다. 그‘것’은 실체라기보다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만남이다. 그 ‘것’은 때들의 직조이다.(때의 문제에 대해서는 조정환, 「비물질노동과 시간의 재구성」, 『비물질노동과 다중』 , 갈무리, 2005 참조, 그리고 http://amelano.net/19813 도 참조) 이런 의미에서 모든 '‘것’'들은 하나하나가 예술품들이다. 모든 존재는 ‘것’ 속에서, ‘것’으로서 실존한다. 이‘것’, 그‘것’, 저‘..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 24.
  • 리처드 세넷,『짓기와 거주하기』, 2020. 서론 ○ 빌ville/시테cite의 구분: 물리적 장소/지각, 행동, 신념 ○ 시테와 빌의 이음매 없는 매끈한 연결의 어려움. 사람들이 살고 싶어 하는 방식이 도시가 건설되는 방식으로 표현될 수는 없다. ○ 도시는 시테와 빌의 비대칭성이라고 하는 고난을 겪는다는 점에서 비틀려 있다. ○ 건축가 자신의 가치/대중의 가치의 불일치 ○ 사는 것과 지어진 것 사이의 어긋남을 계획가의 윤리적 올곧음으로 해결 불가능. → 도시에서 윤리적 문제를 파생시킴. 즉 "도시 계획은사회를 있는 그대로 나타내야 하는가? 변화를 추구해야 하는가?" ○ 열린의 의미: 이상한 것, 구금한 것, 가능한 것을 한데 짜맞춘다는 의미. ○ 아리스토텔레스는 여러 다른 사람들을 한데 모으는 것을 의미하는 시노이키스모스synoikismos라고 ..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 23.
  • 강준만,『한국 현대사 산책 1980년대 제3권』, 2003. 제7장 대통령 직선제 1. 개헌 1천만명 서명운동 7.1.1. 전두환은 86년 1월 16일 국정연설에서 "대통령 선거 방법의 변경에 관한 문제는 평화적 정권 교체의 선례와 서울 올림픽 개최라는 긴급 과제가 성취도고 난 89년에 가서 논의하는 것이 순서"라고 했다[이상우, , 『신동아』, 1992년 6월, 225쪽.] 신민당은 2월 12일부터 대통령직선제 개헌 1천만명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총재 이민우는 "총선 1주년을 맞아 김대중, 김영삼 선생, 그리고 나오 부총재단 개헌추진본부 시도지부장을 필두로 대통령직선제 개헌 서명을 시작하겠습니다."[이경재, , 『신동아』, 1987년 8월, 194쪽.] 김영삼은 라는 성명서를 낭독한 후, 김대중의 서명이 든 용지를 꺼내어 자신도 서명했다. 같은 시간, 민추협에서..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 23.
  • 그라우트,『서양음악사』, 2007. 제3부 17세기 제13장 17세기의 새로운 양식 1. 17세기의 유럽 1.1. 17세기의 유럽에서 음악에 영향을 미친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조건들은 크게 과학 혁명, 정치/종교/전쟁, 식민지, 자본주의, 후원 체계 등의 요소다. 1.2. 과학 혁명: 1609년 요하네스 케플러는 지구를 포함한 행성이 태양의 주위를 타원형의 궤도를 그리면서 돌고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619년 천체의 운행 법칙 증명, 베이컨은 직접적 관찰에 의거한 경험적 연구로서의 과학 연구를 주창. 데카르트의 근대적 의식철학의 주창. 아이작 뉴턴은 1660년대에 중력의 법칙 고안. 이에 의해서 인식/인식된 것의 효과가 1600년경의 예술, 음악에서 새로운 양식의 핵심으로 등장: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제..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 22.
  • 손민정,『트로트의 정치학』, 2009. 1. 트로트, 정치, 음악인류학 1) 트로트 1.1. 트로트의 명칭: 표준 한글영문법으로 표기하면 Teuroteu이고, 매쿤-라이쇼어 표기법에 의하면 T’ŭrot’ŭ가 됨. 1.2. 트로트의 한국어 여부: 트로트는 한국의 대중가요 장르를 일컫는 한국어다. 트로트는 외래어에 속하는 한국어로, 고유의 대중음악 장르를 일컫는다. 미국에도 트로트Trot가 존재하지만, 특히 폭스트로트Foxtrot는 1910년대 후반부터 40년대까지 미국의 무도장을 강타한 사교댄스로, 비교적 빠른 템포에 맞추어 추는 투스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한국에서 통용되는 트로트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 특수한 의미를 부여받는 대중가요/대중음악의 한 장르로서의 트로트는 하나의 한국어 고유명으로 규정해도 될 듯하다. 1..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 22.
  • 음악에서의 리토르넬로에 대하여 이진경, "음향과 배치: 리토르넬로에 대하여", , 213~290. 1. 음악에서의 리토르넬로 1.1. 음악에서의 리토르넬로란 보통 바로크 시대 합주협주곡(concerto grosso)을 비롯한 기악곡을 구성하는 형식과 관련된 것. 예를 들어 바하의 은 18세기 바로크 음악에서 전형적으로 볼 수 있는 '리토르넬로'의 형태를 띠고 있다. 형태는 A-B-A'-C-A''.....A로 요약이 가능하다. 여기서 A의 계열들로서의 A', A''는은 A의 기본적인 테마를 가져오면서도 그것들이 상이한[다른/차이나는] 반복의 형태로 나타난다. 리토르넬로는 이 변형된 개념이다. 여기서 반복되는 A의 계열들은 혼돈된 것에 어떤 하나의 질서, 통일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1.2. 우리는 어둠 속에서 헤매일 때나 두..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 21.
  • 권도희,『한국 근대음악 사회사』, 2004. 1. 연구 목적 1. 20세기 한국음악사에 담론은 서양음악의 수용과 전개에 대한 것으로 요약되는데, 이를 바라보는 세 가지 입장들은 다음과 같다. 1) 서양식 군악대의 설립을 통해 왕실에서 양악이 수용되는 과정을 탐색 2) 창가의 확산과정을 통해 광범위한 차원에서 양악의 수용 과정을 분석 3) 20세기 초의 본격적으로 발달한 대중음악 분석.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논의는 근대 음악사 연구에서의 쟁점이 될 만한 것들에 논의하고 있지 못하는 한계를 보임. 가령 2), 3)의 경우 일본의 일방적 이식만을 강조하여, 조선인의 창조적 음악활동을 거론하지 않고, 더 나아가 서양음악과 조선음악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지 못함. 뿐만 아니라 한국의 근대음악사를 단순히 서양음악의 수용, 정착의 과정으로만 파악하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 21.
  • 일제 강점기 사료: '사상범보호관찰법' 제8권 11호(1936.11) 思想犯保護觀察法, 六千八百名에 十一月부터 實施 總督府法務局의 立法內容은 如左 최근에 사회의 주목을 끄으는 사상범보호관찰법에 대하야, 총독부 법무국에서 입법의 趣意, 적용 범위등을 內示한 바 있는데 그 요령을 記하면 如左하다. 그런데 日本內地에서는 11월 1일부터 벌서 실시*고 있는 바 朝鮮도 특수사정을 참작하야 입법한 초안을 방금 法制局에 회부 심의중임으로 近日 발표되야 시행될 것이다. 第一, 保護觀察制度 及 理由 보호관찰은 치안유지법의 죄을 범하야 1, 起訴猶豫, 執行猶豫의 言渡을 受하고 2, 滿期出獄하고 3, 假出獄을 許한 자에 대하야 그 再犯을 방지하기 위하야 그 사상 及 행동을 관찰하야 適富한 처치를 執함을 得하는 제도다. 朝鮮에서의 사상범죄는 年年 증가하여 매우 寒..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 21.
  • 레이코프, 유나영 역, 『코끼리는 생각하지마 』, 2015. 서론: 프레임을 재구성하는 것이 사회 변화다 "우리는 뇌로 생각한다. [...] 이것이 정치와 무슨 관계가 있을까? 우리는 우리가 이해하도록 뇌가 허락하는 것만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신경 구조의 가장 깊숙한 부분은 비교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이 부분의 활동과 그 영향을 거의 의식하지 못한다. 실제로 우리 뇌가 하는 일의 98퍼센트는 의식 수준 밑에서 이루어진다. 그러한 연유로, 우리는 뇌 안의 무엇이 우리의 가장 깊은 도덕적·사회적·정치적 신념을 결정하는지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한다. 그럼에도 우리는 상당 부분 무의식적인 신념을 근거로 행동한다. 인지과학자로서 내가 하는 일은 무의식을 의식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무엇이 인간의 사회적·정치적 행위를 결정하는지 알아내어 이를 세상에 알리는 것이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 19.
  • 하버마스,『의사소통 행위이론』서론 하버마스, 장춘익 역,『의사소통 행위이론』, 나남, 2006. 서론: 합리성 문제에 대한 접근방식들 예비적 고찰: 사회학에서의 합리성 개념 의견과 행위의 합리성은 전통적으로 철학에서 다루어지는 주제이다. 철학적 사고란 인식과 언어, 행위에 구현된 이성을 성찰하는 데에서 비롯된다고까지 말할 수 있겠다. 철학의 근본주제는 이성이다. 철학은 처음부터 세계 전체를, 다양한 현상 속에서 통일성을, 이성 속에서 발견될 수 있는 원리를 통해서 설명하고자 했다(33쪽). 사회과학 내에서 기본 개념들이 합리성 문제와 가장 긴밀하게 연관되는 학문은 사회학이다. [...] 사회학은 정치학과 경제학이 전문학문이 되는 길을 걸으면서 밀어낸 문제를 담당하는 학문으로 등장했다. 사회학의 주제는 구유럽적 구조를 갖는 사회에서 근대국..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5. 7.
  • 김홍중, 『사회학적 파상력』, 문학동네, 2016. 프롤로그 1. 파상이란 기왕의 가치와 열망의 체계들이 충격적으로 와해되는 체험을 가리킨다. [...] 나는 파상력이라는 말로, 연구자 자신이 이런 상황을 탐구할 때 요청되는 인식론적, 윤리적, 존재론적 스탠스이자 그 스탠스에 함축되어 있는 여러 힘들의 총체를 지시하고자 했다. 파상력의 반대편에는, 부재하는 대상을 허구적으로 현존시키는 능력인 상상력이 있다. 상상력은 없는 것을 있는 것으로 구성해내고, 차이 속에서 동일성을 간파하는 도식화의 능력이다. 파상력은 구성이 아니라 파괴의 방향으로, 질서가 아니라 카오스의 방향으로 활동한다. 전자의 최고치가 꿈이라면, 파상력은 깨어남, 즉 각성의 순간에 발휘된다. 꿈에서 깨어날 때, 우리는 몽상세계의 난잡한 이미지들이 깨지고 흩어져 부서져내리며 다른 세계(현실)가..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10. 31.
  • 남무성,『JAZZ IT UP』, 2018. 프롤로그 남무성에 따르면, "재즈는 미국 남부 루이지애나주의 뉴올리언스에서 시작되었다."[21] 초기 재즈가 형성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의 결합이 중요했다. '뉴올리언스의 지역적 특색', '블루스', '군악대', '브라스 밴드', '홍등가', '래그타임' 등이 그것이다. ― 뉴올리언스의 지역적 특색: 17~8세기에 걸쳐 강대국들의 식민지 전쟁으로 인해 다양한 민족의 영향을 받았음. 스페인, 프랑스, 영국인에 흑백의 혼혈족까지 뒤섞에 인종의 전람회 같은 지역이 됨. 복장, 언어, 건축 등에서 다양한 관습이 공존하는 독특한 혼혈 문화 형성. 유색인종 문제에 대해 관용적인 문화 형성. 항구도시로서 세계 각국과의 무역 교류 활발, 습기가 많고 더운 남부의 기후적 특성상 면화 농장이 많아 흑인 노예가 필요..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10. 1.
  • * 정옥자,『조선후기 중인문화 연구』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13. 2. 22.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